반응형
해외직구 자주 하시는 분들이라면 요즘 뉴스 보면서 '어..? 관세 또 오르나?' 걱정되셨을 거예요. 최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강화 발언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데요, 이번 글에서는 이슈의 핵심 요약 + 해외직구 시 꼭 알아야 할 관세 기준을 정리해 드릴게요!
트럼프 관세 정책, 한국은 해당될까?
2025년 4월 초,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최대 125% 관세를 부과하고, 다른 국가에는 10% 기본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어요. 우리나라의 경우, 일부 자동차·철강 품목은 여전히 25% 관세 유지 대상입니다.
다만, 대부분의 국가(한국 포함)는 90일간 관세 유예 조치가 적용되어 일시적으로 10% 관세가 적용된다고 해요.
즉, 아직 당장 해외직구 물품에 고율 관세가 붙는 건 아니지만, 글로벌 무역 정책이 바뀌는 흐름은 꼭 챙겨봐야겠죠!
해외직구 면세 기준 (2025년 최신)
- 미국발 상품: 200달러 이하 면세
- 그 외 국가: 150달러 이하 면세
*주의! 상품 가격뿐만 아니라 배송비·보험료까지 합산한 금액이 기준이에요.
관세 + 부가세 계산 방법
구분 | 계산 방식 |
---|---|
과세표준 | 상품가 + 배송비 + 보험료 |
관세 | 과세표준 × 해당 품목 관세율 |
부가세 | (과세표준 + 관세) × 10% |
예시) 중국에서 180달러짜리 전자기기를 직구했다면?
→ 과세표준 약 200달러
→ 관세 8% + 부가세 10% = 약 18~20달러 세금 부담 발생
품목별 관세율 예시
품목 | 관세율 |
---|---|
의류 | 13% |
신발 | 8% |
가방 | 8% |
전자제품 | 0~8% |
시계 | 8% |
*정확한 세율은 관세청 UNIPASS에서 HS코드로 조회 가능해요.
자주 묻는 질문 (Q&A)
- Q. 목록통관이 뭔가요?
A. 식품, 건강기능식품 등을 제외한 일반 품목은 ‘간단 통관’으로 들어올 수 있어요. - Q. 같은 날 주문한 건 합산되나요?
A. 네! 동일 쇼핑몰에서 주문 → 같은 날 도착하면 합산 과세될 수 있어요. - Q. 트럼프 관세가 당장 나한테 영향 있나요?
A. 직접적인 영향은 아직 없지만, 자동차·철강 등 특정 수입품엔 영향 가능성이 있어요.
해외직구는 여전히 매력적인 쇼핑 방법이지만, 관세 정책은 국제 정세에 따라 언제든 달라질 수 있어요. 2025년 현재 기준으로는 면세 범위와 세율을 정확히 이해하고, UNIPASS로 수시 조회하는 습관이 가장 안전합니다.
반응형
'일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총정리|홈택스로 쉽게 끝내는 방법과 절세 전략 (0) | 2025.04.08 |
---|---|
2025년 최신 AI 영상 생성기 TOP 5 비교: Sora, Kling, Pika, Runway, Kaiber 장단점 총정리 (0) | 2025.03.27 |
2025년 대중교통 요금 인상 총정리-지역별 인상, 일정, 정부 입장, 교통복지 이슈까지 (0) | 2025.03.26 |
2025년 국가건강검진제도 개편 (0) | 2025.03.25 |
2025년에 바뀌는 정책과 지원사업 주요 변경 사항 및 지원 내용 (1) | 2025.0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