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상정보 / / 2025. 4. 10.

2025년 해외직구 관세 기준 총정리|트럼프 관세 이슈까지

반응형

해외직구 자주 하시는 분들이라면 요즘 뉴스 보면서 '어..? 관세 또 오르나?' 걱정되셨을 거예요. 최근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강화 발언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데요, 이번 글에서는 이슈의 핵심 요약 + 해외직구 시 꼭 알아야 할 관세 기준을 정리해 드릴게요!

 

2025년 해외직구관세총정리

 

 

트럼프 관세 정책, 한국은 해당될까?

2025년 4월 초,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최대 125% 관세를 부과하고, 다른 국가에는 10% 기본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어요. 우리나라의 경우, 일부 자동차·철강 품목은 여전히 25% 관세 유지 대상입니다.

다만, 대부분의 국가(한국 포함)는 90일간 관세 유예 조치가 적용되어 일시적으로 10% 관세가 적용된다고 해요.

즉, 아직 당장 해외직구 물품에 고율 관세가 붙는 건 아니지만, 글로벌 무역 정책이 바뀌는 흐름은 꼭 챙겨봐야겠죠!

 

미국관세25%


해외직구 면세 기준 (2025년 최신)

  • 미국발 상품: 200달러 이하 면세
  • 그 외 국가: 150달러 이하 면세

*주의! 상품 가격뿐만 아니라 배송비·보험료까지 합산한 금액이 기준이에요.


관세 + 부가세 계산 방법

구분 계산 방식
과세표준 상품가 + 배송비 + 보험료
관세 과세표준 × 해당 품목 관세율
부가세 (과세표준 + 관세) × 10%

예시) 중국에서 180달러짜리 전자기기를 직구했다면?
→ 과세표준 약 200달러
→ 관세 8% + 부가세 10% = 약 18~20달러 세금 부담 발생


품목별 관세율 예시

품목 관세율
의류 13%
신발 8%
가방 8%
전자제품 0~8%
시계 8%

*정확한 세율은 관세청 UNIPASS에서 HS코드로 조회 가능해요.


자주 묻는 질문 (Q&A)

  • Q. 목록통관이 뭔가요?
    A. 식품, 건강기능식품 등을 제외한 일반 품목은 ‘간단 통관’으로 들어올 수 있어요.
  • Q. 같은 날 주문한 건 합산되나요?
    A. 네! 동일 쇼핑몰에서 주문 → 같은 날 도착하면 합산 과세될 수 있어요.
  • Q. 트럼프 관세가 당장 나한테 영향 있나요?
    A. 직접적인 영향은 아직 없지만, 자동차·철강 등 특정 수입품엔 영향 가능성이 있어요.

 

해외직구는 여전히 매력적인 쇼핑 방법이지만, 관세 정책은 국제 정세에 따라 언제든 달라질 수 있어요. 2025년 현재 기준으로는 면세 범위와 세율을 정확히 이해하고, UNIPASS로 수시 조회하는 습관이 가장 안전합니다.

 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